티스토리 뷰
1. Amazon ec2 인스턴스 생성하기 (프리 티어)
선택 후 별도의 설정 변경 없이 바로 생성했다.
SSH로 접속 가능하고, HTTP/HTTPS 서비스 동작 가능하도록 22 / 80 / 443 포트를 모든 IP에 열어둔 상태.
((( 참, 생성 막바지에 key pair를 기존에 있던 걸 사용할지, 새로 생성할 지 묻는 단계가 있는데, key pair를 새로 생성하고 다운로드 받아서 진행했다 )))
2. windows 에서 putty로 접속하기
* windows 에서 SSH로 원격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 putty를 사용
* 다운받은 .pem 형태의 key를 putty에서 사용하는 .ppk 형태로 변환하기 위해 puttygen을 사용
2-1) puttygen 을 실행한 후 Load 탭을 눌러 .pem 파일을 읽어온 후 private key를 저장한다.
2-2) putty 실행 후 Connection-SSH-Auth 탭의 Browse... 를 눌러 저장한 private key를 읽어온다
2-3) AWS 웹 콘솔에서 연결하려는 인스턴스를 선택하면 연결 탭이 활성화되는데, 이를 눌러서 퍼블릭 DNS를 확인, 복사한다. (4. 퍼블릭 DNS => " ec2-13-209-87-107. ~~~ ")
2-4) 복사한 퍼블릭 DNS를 Session의 Host Name 칸에 붙여넣은 후 Open 으로 접속한다.
2-5) login as : 가 표시되면 ubuntu 를 입력, 생성한 ec2 인스턴스에 접속이 되었다.
3. 퍼블릭 DNS와 키 없이 접속 가능하도록 ubuntu 설정 변경하기
: /etc/ssh/sshd_config 파일의 PasswordAuthentication 을 yes로 변경하고 ssh 서비스를 재시작하면 처음 연결처럼 퍼블릭 DNS와 private key loading 없이 패스워드로 어디에서나 해당 인스턴스에 접속 가능하다.
(( PasswordAuthentication yes 설정 후 ubuntu 패스워드 설정 필수!!!! ))
: 설정이 적용되었다면 putty에 AWS 웹 콘솔에서 확인 가능한 ec2 인스턴스의 public ipv4 주소를 입력해 접속 가능하다. (ubuntu@IPv4ADDR 또는 IPv4ADDR 입력 후 loginas : 에 ubuntu 입력)